
[발렌타인데이의 정의]
매년 양력 2월 14일을 가리키는데 좋아하는
친구들끼리 특히 여자가 남자에게
초콜릿 따위를 선물하는 날.
[발렌타인데이의 유래]
발렌타인데이의 유래는 3세기(269년)
로마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결혼은 황제의 허락 아래 할 수 있었는데,
발렌타인(Valentine)은 서로 사랑하는 젊은이들을
황제의 허락 없이 결혼을 시켜준 죄로
순교한 사제의 이름이다.
그가 순교한 뒤 이날을 축일로 정하고 해마다
애인들의 날로 기념하여 온다.
이날은 여자가 평소 좋아했던 남자에게
사랑을 고백하는 것이 허락된다.

성 발렌티노 축일과 연인의 사랑의 관련성은
14세기 영국에서부터 보이는데,
영국의 시인 초서의 시에는 양력 2월 14일은
모든 새들이 교미할 짝을 찾으러오는
특별한 날이란 구절이 있다.
증거는 없지만 많은 사람들이 2월 중순
(13일부터 15일)에 열리는 로마시대의 축제인
루페르칼리아나 유노 정화제(유노 페브루아타)와
연관이 있지않나 추정하고 있다.
그래서 저 전설이 18세기 영국인 사제에
의해서 만들어진 것이며,
실제와는 별 상관이 없다는 견해도 엄연히 있다.
수 많은 유래와 설래가 있지만 간단하게 말하면
발렌타인의 억울하고 의로운 죽음을 기리기 위해
그 날을 발렌타인데이로 지정하고 그 날 만큼은
여자가 평소 좋아하던 남자에게 마음을 전하던 날이다.
주로 사랑을 전하는 매개체는 초콜릿이다.
최근에는 초콜릿 이외에도 자기만의
개성적인 선물을 준비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발렌타인 (Valentine)은 누구인가?]
발렌티노는 신부이다.
이 신부는 서로 사랑하는 사람들을 위해
몰래 법을 어기고 몰래 결혼을
성사시켜 주었다가 발각되어 사형당했다.
사람들은 이 신부를 기리기 위해
생긴 것이 성 발렌티노 축일
(밸런타인 데이)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실존인물인지는 불확실하나 부정하는
쪽에서도 적어도 세 사람의
실존인물의 부분합으로 보고 있다.
[각 나라별 발렌타인데이]
동아시아권에서는 일본을 중심으로
발렌타인데이 문화가 퍼지기 시작했다.
그 문화는 발렌타인 데이가 여성이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는 날로 고정되었다.
본래 영국에서 시작된 밸런타인 초콜릿 문화가
언제부터, 어떤 계기로 일본에 들어왔는지는
일본 내에서도 의견이 분분하나,
대체로 경제적으로 풍요로워지기
시작한 70년대부터라고 본다.
확실한 건 2차대전 이후에 생겨난 문화란 것이다.
한국과 일본의 차이점은 한국에선 동성선물,
의리선물 등이 많지 않으며 직장에서
초콜릿을 주는 일도 잘 없다는 것이다.
일본에선 직장에서 초콜릿을 주는 것 때문에
사회적 스트레스까지 언급될 정도다.
호주 뉴질랜드 등 남반구 국가나 적도와 가까운
열대 지역인 싱가포르 에서는 2월이 여름인 탓에
수영복이나 선글라스 등 여름용품이
밸런타인 데이 선물로 인기가 있다.
반면, 사우디아라비아에서는 이교도의
축일이라는 이유로 밸런타인데이가 금지되었다.
기독교와 관련된 유래 때문에 크리스마스와 같이
종교적으로 연결해 이슬람 국가에서
거부감을 보이는 경우가 꽤 있다.
현재 전 세계에서 법적으로 밸런타인 데이가
금지된 국가는 북한,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파키스탄
뿐이고 북한을 제외하면 전원 이슬람 국가이다.
[진정한 의미]
남녀노소 상관없이 초콜릿이란 매개체를 떠나서
주변의 소중한 사람들에게 안부 연락
한 번쯤 해보는 건 어떨까?
기업이 만든 상술에 놀아나지 않는 범위 한해서
어릴적 동심으로 발렌타인데이를
즐겨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
'지식백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8 민주운동] 에 대해 알고 계신가요? (0) | 2020.02.12 |
---|---|
아카데미 시상식의 의미와 역사 (영화 '기생충' 4관왕) (0) | 2020.02.11 |
유성매직 지우는 방법 5가지 (0) | 2020.02.09 |
음력 1월 15일 정월대보름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0.02.06 |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실시간 현황 링크 주소 (0) | 2020.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