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8 민주운동]
대한민국 건국 이래 최초의 민주운동이며,
4.19 혁명의 도화선이된 역사적인 민주운동!
이승만의 자유당 독재정권 횡포와 부패가 절정을
이루고 불법적 인권유린이 극에 달한 상황이었다.
결국 1960년 2월 28일 오후 1시경 대구 경북고
학생위원회 부위원장 이대우가 학교 운동장 조회단에서
결의문을 읽은 뒤 8백여 학생들이 교문을 박차고 나와
역사적 민주운동이 비로소 시작되었다.

[무엇이 선량한 학생들을 분노하게 했을까?]
당시 자유당 정부는 영구집권을 위한 개헌을 했고
60년 3월 15일 정부통령 선거를 맞아 부정선거로
집권을 연장할 것을 기도했다.
그에 따라 온갖 악행을 자행하는 가운데
언론과 야당의 탄압은 말할 것도 없고
막걸리와 고무신으로 매표공작을 벌였는가 하면
투표장과 개표장에선 사전투표·대리투표·피아노표 등
부정투개표로 민의를 조작했다.

이같은 자유당의 장기 집권을 위한 부정 음모가
진행되면서 정부통령 선거운동이 막바지에 이르렀던
60년 2월 28일 대구 시내 수성천변에서 야당의
부통령 후보인 장면 박사의 선거 연설회가 계획되었다.
이 때문에 일요일인 그날의 수성천변 유세는
대구 시민들은 말할 것도 없고 전국의 이목이 집중돼
자유당 정권의 감시에도 불구하고 많은
인파가 몰릴 것으로 예상됐다.

선거의 패배를 예감한 자유당 정부는 이성을 잃고
고교생인 어린 학생들이 유세장으로 몰릴 것을
우려한 나머지 대구 시내 공립 고등학교에
일요 등교를 지시했고학교 당국은
온갖 핑계로 일요 등교를 강행했다.
어린 학생들마저 정치도구로 희생시키려 했던 것이다.

그러나 이같은 자유당 정권의 간계를 간파한 학생들은
불의에 몸을 떨었고 그날 학교에 모인 학생들은
당국의 지시에 따르지 않고 이같은 자유당의
불의와 부정을 규탄하는 집회로 바꾸어 궐기했고
교사들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학교를 뛰쳐나왔다.
당시 인구가 밀집했던 중앙통을 거쳐 경북도청과
대구시청, 자유당 경북도당사, 경북지사 관사 등을
돌며 자유당 정권의 악행을 규탄했다.
숱한 학생들이 경찰에 연행되어
고통을 받았고 교사들도 모진 책임추궁을 받았다.
결국 엄벌을 계획했던 정부 당국은
국민들의 분노에 처벌을 완화했고
독재에 움츠렸던 언론도 마침내 2.28학생의거를
보도함으로써 전국의 학생들이 잇따라
궐기하고 시위에 나섰다.
당시 야당도 함부로 나서지 못했고
어른들도 말 못했던 공포 분위기를
어린 학생들이 처음으로 흔들어 놓은 것이다.
학생들이 처음으로 자발적이고 민주적인
의사표시를 한 것이며 대구 시민들도
도피 학생들을 숨겨주는 등 뜨거운
성원을 아끼지 않았던 것이다.
[2.28 민주운동이 가져온 결과]
2.28의거는 광야를 태우는 한 알의
불씨가 되어 들불처럼 번져갔고
3.15 마산의거, 4.19 대학생시위,
4.26 이승만대통령 하야로 이어져
마침내 독재정권을 무너뜨리고
이나라 최초의 민주주의 혁명을 완수했다.
2.28대구학생 민주의거는 가난과 독재,
불의와 부정에 항거한 대구 시민정신의
표출이었고 해방과 더불어 한국판
민주주의를 선구한 사건이었다.
2.28민주의거는 대한민국 건국이후
역사상 처음으로 민주개혁을 요구하는
국민의 자생적 시위였고 4.19민주혁명의
도화선이었다는 점에서 우리 근대사의
가장 위대한 역사적 사건의 하나이다.

특히 이 나라 민주화를 앞당긴 2.28민주의거가
당시고교 2학년인 어린 학생들이 주동이
되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큰 것이다.
2.28 학생운동이 자유당 독재정권의
타도와 같은 구체적인 정치적 목표를
가지고 시작된 것은 아니었다.
또 자신들의 행동이 학생혁명의 출발점이
될 것이라는 계산속에서 움직인 것도 아니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2.28 학생운동이
단순히 일요등교에 따른 단순한 순간적인
감정의 폭발이 아니라 뚜렷한 이성적 판단에
근거한 시대의식의 반영으로 일어났으며,
현대 학생운동의 시작을 알리는 민주주의
실천운동이었다는 사실에 동의하고 있다.
그리고 2.28 학생운동의 전개과정에서
학생대표들은 시위를 위해 하루전날부터
구호를 다듬고 계획을 세웠으며 당시에 외쳤던
구호가 민주주의에 바탕을 둔 비판적 목적의식을
뚜렷이 보여주는 것임을 그 근거로 들고 있다.
그 후 전국 곳곳에서 일어난 고등학생들의 시위나
민주화운동의 정점이 된 4.19혁명은 2.28에서
비롯되었다고 많은 사람들은 말한다.

또한 어떤 학자는 2.28 민주운동이
한국 학생운동사의 위치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한국 근, 현대사에서 학생운동은
3.1운동, 6.10만세운동 광주학생운동 등의
한국 독립운동에서 광복 후 6.25를 거치면서
1960년대부터는 민주화운동으로 전개되었다.
이때 2.28이 1960년부터 30여 년간
계속되는 독재정치와 부정부패에 대응한
학생중심의 민주화운동의 출발점으로
본다는 것에서 큰 의미가 있다.
[결론]
"역사를 잊은 민족에겐 미래란 없다."
라는 말처럼, 우리나라 민주운동의 시초가 되었던
2.28 민주운동에 대해서 기억하고, 공부하자
그들이 있었기에 지금의 민주주의가 있다는 것도...
'지식백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족 게이트? 차이나 게이트? 정리 (0) | 2020.03.01 |
---|---|
3.1절 국가공휴일, 대체휴일로 지정될까? (0) | 2020.02.19 |
아카데미 시상식의 의미와 역사 (영화 '기생충' 4관왕) (0) | 2020.02.11 |
발렌타인데이의 유래와 의미 (0) | 2020.02.10 |
유성매직 지우는 방법 5가지 (0) | 2020.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