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52) 삼성전자 부회장에 대해 검찰이 청구한 구속영장이 9일 법원에서 기각됐다.

국정농단 사건으로 구속됐다가 2018년 2월 집행유예 판결로 풀려난 이 부회장은 2년 4개월 만에 다시 수감될 위기에서 벗어났다. 함께 청구된 최지성(69) 옛 삼성 미래전략실장(부회장), 김종중(64) 옛 미전실 전략팀장(사장)의 구속영장도 모두 기각됐다.
원정숙 서울중앙지법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전날 이들의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하고 이날 오전 2시께 "불구속재판의 원칙에 반해 피의자들을 구속할 필요성 및 상당성에 관해서는 소명이 부족하다"며 구속영장을 기각했다.

원 부장판사는 "기본적 사실관계는 소명됐고, 검찰은 그간의 수사를 통해 이미 상당 정도의 증거를 확보한 것으로 보인다"며 "이 사건의 중요성에 비춰 피의자들의 책임 유무 및 그 정도는 재판과정에서 충분한 공방과 심리를 거쳐 결정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전날 영장실질검사를 마치고 서울구치소에서 대기하던 이 부회장은 곧바로 귀가했다.
서울중앙지검 경제범죄형사부(이복현 부장검사)는 지난 4일 이 부회장 등 3명에게 자본시장법상 시세조종부정거래, 주식회사외부감사법 위반 등 혐의를 적용해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이 부회장 등은 2015년 5월 이사회의 합병 결의 이후 호재성 정보를 집중적으로 띄워 제일모직과 삼성물산 주가를 동시에 부양하는 등 합병 전후 두 회사 주가를 조작한 혐의를 받는다.

검찰은 같은해 연말 삼성바이오로직스의 4조5천억원대 회계사기 혐의 역시 모회사 제일모직 가치를 부풀려 이 부회장에게 유리하게 진행된 합병을 사후적으로 정당화하기 위한 목적이었다고 의심했다.
검찰은 이 부회장이 시세조종분식회계에 얼마나 관여했는지 보강수사할 방침이다. 그러나 이 부회장측이 기소 여부 판단을 외부 전문가들에게 맡겨달라며 검찰수사심의위원회 소집을 신청한 상태여서 남은 수사에 난항이 예상된다.
이재용 부회장은 구속심사 전 6월 7일 긴급 호소문을 내놓고 '위기 극복을 위해 경영정상화가 절실하다"고 강조한바 있다. 이번 구속영장 기각으로 앞으로의 남은 수사 방향이 어떻게 진행될지, 그리고 삼성과 이재용 부회장이 호소한 경영정상화를 위해 삼성이 어떻게 대처할지 국민적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오늘의 뉴스 > 시사 경제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순실 국정농단, 최종 판결징역 18년 벌금 200억 (0) | 2020.06.11 |
---|---|
QR코드 스캔 전자출입명부, 네이버 웹, 앱에서 이용가능 (0) | 2020.06.10 |
질병관리본부 질병관리청 승격 16년만에 개편 (0) | 2020.06.03 |
장제원 아들 래퍼 노엘 장용준 음주운전 집행유예 뜻 (0) | 2020.06.02 |
홍콩 국가보안법 통과, 트럼프 홍콩 특별지위 박탈 보복 (0) | 2020.05.30 |